종교개혁 500주년 기념사업회/종교개혁신학 명처 총서 1권이다. 본 서 외에 퍼킨스의 황금사슬과 폴라누스의 예정론이 나왔던 것 같다. 최윤배 박사는 몇 없는 부처 전공자이다. 아펜도른에서 스페이커르에게 배웠는가..? 들었던 것 같은데 정확하지 않다.. 로마교회에서 개혁된 이후 사목직에 대한 정돈과 질서가 필요했다(시대상 요구가 분명했을 것) 이에 대하여 부처는 교회와 직분의 의미를 정리했다. 종교개혁 이후 권위있는 저서로는 거의 최초가 아닐까 싶다. 서문을 살펴보면, 로마교회에 거짓 목회 그리스도를 의지하지 않게 하고, 오히려 성직자들의 의식과 자신의 성자와 죽은 성자들의 공덕을 의지하게 했다. 또한 정반대편도 있었는데, 재세례파는 기독교적 자유라는 미명하에 육욕적인 몽염치를 추구하고 기독교적 질서를 모..
④ “강요하지 마세요”_권위와 순종에 대하여청소년기의 핵심적인 임무는 순종을 내면화하고, 어른의 지도, 인도를 받는 것이라면, 부모의 임무는 올바르고 지혜로우며 기독교적인 방법으로 권위를 행사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입니다.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이 응답해야 할 질문은 ‘어떻게 하면 자녀를 복종시킬까?’가 아닙니다. ‘어떻게 하면 나의 권위를 제대로, 그리고 지혜롭게 행사할 수 있을까?’입니다. 누가복음 2:41-51절은 청소년기 순종과 권위에 관해 좋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나사렛에서 예루살렘까지 유월절 순례가 끝나고, 나사렛으로 다시 돌아오는 길에 예수께서 홀로 예루살렘에 남습니다. 하룻길 후에 알게 된 요셉과 마리아는 부랴부랴 예루살렘으로 돌아갑니다. 그리고 예수께 따끔하게 말합니다. “아이야, 우리가..
② “내 마음대로 옷 좀 입게 내버려 두세요”_선택과 결정에 대하여청소년들은 거의 모든 시간을 자신이 누구인지를 발견하는 데 보냅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랜 시간을 거울 앞에서 보내는지도 모릅니다. 청소년 초기는 자기 정체성이 상당히 모호합니다. 그래서 어떤 영웅에게 정체성을 투사하거나, 어떤 그룹에 동화됨으로 그 사실을 숨기려합니다. 어딜 가나 똑같은 청소년의 옷차림과 언어가 그들의 보호막입니다.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은 힘든 고통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정체성은 결정의 산물이기 때문에, 청소년은 결정하는 법과 그 결정의 결과에 익숙해지는 일을 배워야 합니다. 종종 청소년은 자신의 다른 모습을 보여줌으로 자기 자신을 정의하는 연습합니다. 예를 들어, 자신은 부모가 말하는 그런 사람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거북한 십대, 거룩한 십대글쓴이: 유진 피터슨(Eugene H. Peterson) 미국 메릴랜드 주에 있는 장로교회에서 30년 간 목회자로 섬겼고, 현재 리전트 대학 석좌 교수로 저술활동 전념. 대표작 "메시지 성경", "이 책을 먹으라", "다윗" 등등. 간략한 책 소개: 세 아이의 아버지, 한 목회자의 입장에서 청소년기에 대해 말합니다.부모에게 자녀의 청소년기는 “선물”이라는 관점에서 좋은 통찰을 소개해줍니다.중고등부(십대)가 어떤 시기인지, 그 특징들을 이해하기 쉽도록 소개해줍니다.목차: ① 청소년기는 선물입니다._퇴화와 성장의 갈림길에서 ② “내 마음대로 옷 좀 입게 내버려 두세요”_선택과 결정에 대하여③ “나 교회 안 갈래요”_거부와 저항에 대하여④ “강요하지 마세요”_권위와 순종에 대하여⑤ “..
『현대교회와 설교』(The Art of Preaching in the twentieth Century Between Two Worlds, 존 스토트)를 읽고 John R.W Stott는 현대 기독교를 대표하는 지성인이자 신약학자이다. 그는 20세기 최고의 설교자이며, 범세계적인 복음주의 지도자로서 로잔언약(1974)을 입안했다. 그의 영향력은 전 세계적이었기 때문에, ‘타임’지가 정한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뽑히기도 했다(2005년). 그는 1921년 영국에서 명망 있는 왕실의사인 집안에서 태어나서, 고등학교 때 성공회 사제가 되기로 결심한다. 고등학교 졸업 후에 신학의 훈련을 위해 캠브리지에 진학하였다. 당시 자유주의적인 신학 분위기인 캠브리지에서, 복음주의를 추구하며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따랐다..
『성경이 무엇을 말하느냐?』(길성남, 성서유니온, 2014) 를 읽고 설교자는 말씀의 하나님 곧 성령 하나님의 비밀한 말씀을 맡은 청지기이기 때문에 그 말씀을 하나님의 입장에서 해석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이 있어야 합니다. 고신교회의 헌법해설에서 “말씀의 선포자의 자질”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이는 제 20문 “설교자의 자질은 어떠해야 하는가?”를 대답하는 첫 문장이다. 고신헌법의 관리표준은 교회의 본질에 속한 예배에 대한 지침이 가장 먼저 나온다. 예배지침에서 공예배 순서에 대해 긴 분량을 다루고, 곧바로 설교자의 자질을 묻는다. 이 문항에 대한 해설을 요약하면, 설교자는 하나님의 말씀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하고, 행위의 모범과 존경받을 만한 인격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설교자는 말씀을 해석하는..
****박영돈 교수님의 교회론 수업을 종합하여 재조직한 것입니다.글을 악용하지 마십시오. 포스트모던 사회 속 교회 서론헤르만 리덜보스는 현대 사회에 만연한 “포스트모더니즘”을 경계하며, 그 사회의 특징으로 “개인주의”, “반권위주의”, “세속화”을 꼽았다. 이미 한국 사회는 포스트모더니즘 사회가 되었고, 사회의 구성원에게 “개인주의”, “반권위주의”, “세속화”가 내면화되었다. 남들이 어떤 피해와 고통을 당하든지, 자신만 아니면 상관없다는 말인 “나만 아니면 돼-”가 최근에 유행했다. 이와 같은 유행어는 한국인의 개인주의적인 삶의 태도를 반영한다. 그리고 자신을 제한한다고 느끼는 것은 무엇이든 인정하지 않는 반권위주의적 태도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자신 위에 어떤 권위도 두려고 하지 않는다. 선생님, 부..
허도화 『한국교회 예배사』 요약 연구의 기본 질문들 예배의 형성과정에 대한 것이다. 각 시대의 예배는 언제, 어디에서, 그리고 누구에 의해 시작되었는가? 예배의 발전과정에 대한 것이다. 각 시대의 예배는 어떤 내용, 구조, 형식으로 어떤 특징과 경향을 나타내며 진행되었는가? 예배의 영향에 관한 것이다. 각 시대의 예배는 한국교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어떤 예배 전통을 형성하였는가? 연구 방법 : 각 교단 지역 교회들을 위해 제시한 표준 주일예배를 비교하며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구한다. 주일예배 형성(1879-1900) 1. 한국인 예배 공동체한국인 첫 예배 공동체: 한국인 예배 공동체가 만주와 일본에 형성되었다. 맥킨 타이어와 로스(스코틀랜드 선교사)는 만주에 한국과 만주 사이에 위치한 곳에서 선교사를 돕..
진리에 기초를 둔 교육(Education in the truth) - Norman De Jong신청기 역(생명의 말씀사, 1985) "사명(commitment)으로서의 가르침을 소명(calling)으로서의 가르침과 혼돈하지 않기를 바란다. 소명은 인간에 기원을 둔 것이 아니다. 이는 하나님이 그의 특수한 사역을 위해서 좋은 선택을 하셔서 무장시키는 일이다. 그리스도 안에서의 사명은 소명을 받은 사람의 선택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다. 따라서 사명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대한 헌신적이고 긍정적인 반응이다." (187p)
마음에 와서 닿았던 문구들.. 4. 말씀 선포 중.."사역자는 수줍어 할 필요가 없으며 오직 자신과 청중들을 구원하기 위하여 설교하도록 한다.""애정을 가지고 일하라. 성도들은 목사가 거룩한 열정과 성도의 유익을 강망하는 마음의 소원에서 우러나는 것들을 보게 될 것이다." 6. 성례전 거행 "주님은 진리와 특별한 섭리 가운데 그의 교회의 성장과 영속을 위하여 귀하신 주님의 아들의 피로 사신 무한한 은혜의 참여자들을 매일 교회의 품으로 인도하시나이다.” 8. 결혼 서약 중.."모든 관계는 말씀과 기도로 성화되기 때문에 목사는 당사자들 위에 은총이 임하도록 다음과 같이 기도한다." 우리의 죄로 인하여 우리가 하나님의 최소한의 자비하심도 결코 받을 수 없음을 고백하오며, 하나님을 분노케 함으로 우리의 모든 평..
- Total
- Today
- Yesterday
- 강독
- 유해무
- 성서유니온
- 예배모범
- 불트만
- 지중해철학기행
- 네덜란드 교회
- 효형출판
- 예배사
- 성경해석
- 기독교교육
- 설교
- 주기도문
- 헤르만 리덜보스
- 박영돈
- 청소년교육
- 유진 피터슨
- 교회 교육
- 존 스토트
-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
- 이강서번역짱
- 교회론
- 조엘비키
- 옥한흠
- 탈권위
- 웨스트민스터
- 예배
- 클라우스 헬트
- 교회교육
- 현대교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